기아 K5 하이브리드 차량이 P1B70 고전압배터리 저전압 증상으로 입고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저전압 증상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전압배터리 저전압 증상은 말 그대로 고전압배터리셀의 전압이 작동 상황에 따라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전압 자체가 무너지는 현상이 일어날 때, P1B70 트러블코드를 표출하게 됩니다.
P1B70 고전압배터리 저전압 증상의 경우 P1B74 에러코드 증상과는 정반대 증상으로 규정할 수 있는데, 증상은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왜냐하면 두 에러코드 원인 모두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이상 증상으로 성능 저하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입니다. 해당 차량의 경우 연비 저하 증상으로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간혈적인 계기판 경고등 표출 증상이 나타나는 상황입니다.
해당 차량은 4가지 카테고리에서 에러코드들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AC 에어컨
VDC (Vehicle Dynamic Control)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AHB( Active Hydrauric Booster)
이렇게 에러코드들을 표출하고 있지만 이 중 실질적인 문제점으로 볼 수 있는 카테고리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AHB( Active Hydrauric Booster) 카테고리가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카테고리입니다.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1B70 고전압 배터리 저전압 에러코드가 표출되었습니다.
모든 자동차 스캐너 에러코드가 그렇지만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정비를 위한 참고 지표일 뿐 정답은 아닙니다. 에러코드의 원인과 결과가 모두 표출되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질적으로 해당 차량은 P1B70만 표출된 상태이지만 P1B77 및 P1B74 에러코드까지 동시에 표출되어야 합니다. 3가지가 동시에 표출되어야 하는 상황이지만 한 가지만 표출된 상태이므로 해당 차량에 대한 스캐너 진단코드의 신뢰도는 33% 수준입니다.
이런 이유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일반 내연기관 보다 더욱 신뢰도가 떨어지는 특성이 있으며, 작동 여부(상황)에 따라 변화값 흐름까지 읽어내야 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자동차 정비가 더욱 어렵습니다.
진단기상 AHB 카테고리 에러코드를 표출하고 있는 카테고리는 3개로 다음과 같습니다.
AHB (유압부스터 활성)
하지만 트러블코드가 발생한다고 해서 무조건 고장이 났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에러코드는 참고 자료일 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항상 부품 실측을 통해 해당 카테고리의 트러블코드들을 일일히 확인하면서 확진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C2402 모터 전기적 이상
AHB(유압부스터 활성) 카테고리의 에러코드는 C1237과 C1604 이 두 가지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하며, C1237 또는 C1604가 다른 하나의 에러코드가 조합되어 '실패2' 즉, 두 가지로 조합되어야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진단을 하는 정비사는 하이브리드 전문가라면 위 카테고리를 일일히 들어가지 않더라도 이렇게 예상이 가능해야 합니다. 간혹 C2402 모터 전기적 이상 에러코드도 함께 표출되기도 하지만 정확한 진단 과정이 필수입니다.
아이들링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고전압 배터리팩의 상태는 셀 전압 수치들을 볼 때, 큰 문제가 없어보이는 상황입니다. 보이는 부분만 놓고 보면 셀간 전압 편차는 0.02볼트로 전혀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차주 분께서는 정식 서비스센터에 예약을 하고 오랫동안 대기 기간 후 방문하여 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상황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식 서비스센터에서 돌아오는 대답은 문제가 전혀 없다고 하고, 펌웨어 업데이트만 해주고 출고를 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밀진단 과정에서 밝혀진 정식 서비스센터에서 볼 수 없었던 부분들을 정확하게 설명해주고 차주 분의 궁금증을 정확하게 해결해드리는 하이브리드 고전압 배터리팩의 상태에 대한 이상 데이터와 설명을 통해 해당 차량이 어떤 이유로 문제가 발생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차주 분의 궁금증과 불안감을 해소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그동안 하이브리드 차량을 수리하면서 고전압배터리 밸런싱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고전압배터리팩 밸런싱의 경우 전압 밸런싱과 용량 밸런싱이 있으며, 이 두가지를 해결할 수 있어야 고전압배터리 밸런싱을 제대로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어부인 BMS에 대한 개선품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증거 3가지를 수리를 하는 분들에게 자세한 설명과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고전압 배터리 셀 전압 편차의 중요성에 대해
셀 전압 편차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이브리드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팩은 수십 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72개셀로 구성되어있으며, 도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의 경우 모델에 따라 168개셀부터 240개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고전압배터리팩을 구성하는 셀들의 전압이 균일하지 않으면, 배터리 팩 전체의 성능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셀 간 전압 편차가 크면 배터리 팩의 충전 및 방전 효율이 저하되고, 배터리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셀 간 전압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셀 전압 밸런싱(균형화) 기술을 보유한 업체에서 고전압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 배터리 셀 간 전압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2차전지 학계 및 업계에서 다양한 셀 밸런싱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현실적인 기술을 보유한 업체는 거의 없습니다.
교체된 고전압배터리의 모듈간 전압편차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 수리에 대한 진단을 시작하게 됩니다. 셀전압은 모두 3.86볼트이며, 모듈간 전압편차가 0.00볼트로 신차 수준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스캐너상 수치들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을 시작으로 교체된 고전압배터리를 진단하게 됩니다. 4가지 관점으로 하이브리드 고전압 메인 배터리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저희 업체의 전매특허인 고전압배터리 모듈별 셀간 전압 편차가 0.00볼트로 신차 수준임을 단번에 확인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시스템 작동 상황 속에서도 0.02볼트로 현대기아차 매뉴얼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하이브리드 배터리 수준 증명하고 있습니다.
신품 수준의 리빌딩 배터리팩으로 교체한 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통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을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4가지 관점에서 입고 진단을 하여 정밀진단을 하지만 수리교체 후에도 같은 진단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정밀진단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헤란로 - 네이버톡톡
차종 연식 주행거리 사시는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가능합니다.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GROK beta3 에 하이브리드 수리업체를 물어봤습니다.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
blog.naver.com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고전압 #배터리 #엔진수리 #엔진문제 #엔진보링 #엔진전문
#리빌트 #리빌딩 #수리센터 #배터리고장 #배터리수리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싱 #라인단선
#하이브리드배터리 #수리 #재생 #리커버리 #리빌트 #배터리 #리빌딩 #정비 #셀 #팩 #HEV #PHEV #하브배터리 #메인배터리 #교환 #재생업체 #수리업체 #업체 #경고등
#그랜저HG #그랜저IG #YF소나타 #LF소나타 #K7 #하이브리드 #K5
#P1B70 #고전압배터리저전압 #P1B74
'자동차 > 현대기아차H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K5 하이브리드 시스템 대표 DTC코드 P1B74 증상 및 정비 수리 (0) | 2025.04.16 |
---|---|
P0A78 구동모터 인버터 성능이상 진단의 범위와 해결방법 feat. K5 HEV (1) | 2025.04.13 |
누전 증상으로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교체 및 수리를 진행한 K5 HEV (0) | 2025.04.11 |
CAN 통신불가 U0110 인버터 교체 후 P1B77 수리 feat. 그랜저HG HEV (0) | 2025.04.10 |
현대 YF소나타 하이브리드 구동모터 교체 수리 및 HSG 교체 수리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