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5 하이브리드 스캐너상 에러코드 신뢰도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그동안 포스팅에서 부분적으로 언급한 내용이지만 에러코드, 펄트코드, 고장코드에 대한 질문이 많아서 이번 포스팅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차주 분들 입장에서는 자동차 계기판 상에는 그냥 엔진 경고등이나 스패너 경고등으로 접할 수 있으며, 보통 하이브리드 경고등 및 에러코드의 원인은 BMS 내구성 문제에서 비롯되어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계기판상 엔진 경고등과 스패너 경고등이 동시에 들어와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 이상으로 추정되어 정밀진단을 실시했습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연관이 없어 보이지만 계기판 상 경고등은 단순 고장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이지 정확한 고장 내용을 알려주는 것은 아닙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대한 고장 진단은 정밀 진단을 통해서만 알 수 있습니다.

스캐너상 에러코드가 다채롭게 이력과 현재 증상으로 5가지 카테고리에서 에러코드가 발생되고 있었던 차량입니다. 저전압 증상의 경우 일시적인 시스템 에러일 가능성이 가장 크지만 하이브리드 시스템 이상으로 문제를 간과하다가 다른 부분까지 고장이 날 경우까지 정확하게 진단을 하면서 수리 범위를 결정해야 합니다.

해당 차량의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1B74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싱라인 단선
P1B96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서 이상 해당 에러코드와 비슷한 에러코드로 자주 발생하는 에러코드이며, 보통 P1B70 와 함께 고전압 배터리 문제로 센싱 라인이 단선이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P1B96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서 이상 해당 에러코드와 비슷한 에러코드로 자주 발생하는 에러코드이며, 보통 P1B70 또는 P1B77과 함께 표출되어야 하는데, 고전압 배터리 에러코드는 표출되지 않고 있습니다. 단지 센싱 라인이 단선이 되었다는 해당 에러코드만 표출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현대기아차 하이브리드 에러코드 스캐너상 신뢰도는 33% 수준이라고 그동안 포스팅에서 강조하고 있었습니다.

배터리 팩 전압은 6553.5볼트이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입니다. 정말 말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우선 배터리 팩전압이 6553.5볼트라면 72개셀로 구성된 배터리 팩이므로 한 개 셀전압은 91볼트가 되어야 하는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라는 것도 말도 안되는 상황이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라면 72개셀로 구성된 배터리팩 전압은 367.2볼트가 나와야 정상입니다. 배터리 팩 전압은 6553.5볼트이고, 셀전압이 5.1볼트 기준으로 계산한다면 배터리팩 전압은 367.2볼트이어야 하는데, 정말 아이러니한 데이터 수치입니다.
그러나 현대기아차 해당 모델들의 배터리팩 기준 전압은 270볼트입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이상 수치들로 기본 수치가 나오는 것은 현재 해당 차량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는 점은 분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수치들이 나오는 의미를 해석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정밀 진단에 임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인버터 커패시터 전압은 정상 전압 수치인 277볼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아이러니한 상황이 왜 벌어지냐면 아직 알맞은 에러코드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애매모호한 스캐너 펄트코드를 있는 그대로 보고 수리를 할 경우 차주 분들에게 정비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스캐너 에러코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스캐너에 표출되는 수치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수리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해당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교체를 실시합니다. 그리고 고질병이자 결함으로 볼 수 있는 제어부도 업그레이드를 한 제어부로 교체하여 연쇄폭발 반응처럼 고전압배터리의 밸런싱을 깨버리는 원인을 해결하는 수리가 필요한 작업입니다. 해당 고전압배터리를 교체한 후 이에 대한 진단도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단순히 문제가 있는 부분을 교체했다고 해도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안착이 되었는지에 대한 확인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덴트라이트를 파쇄한 신기술 재생방식으로 신품 수준으로 리빌딩한 배터리팩만 취급하며, 해당 배터리팩의 경우 자체 일련번호를 부여하며, 철저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리빌딩 밸런싱 배터리팩으로 사용해야만 가장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교체된 고전압배터리의 모듈간 전압편차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 수리에 대한 진단을 시작하게 됩니다. 모듈간 전압편차가 0.00볼트로 신차 수준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스캐너상 수치들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을 시작으로 교체된 고전압배터리를 진단하게 됩니다. 4가지 관점으로 하이브리드 고전압 메인 배터리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신품 수준의 리빌딩 배터리팩으로 교체한 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통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을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4가지 관점에서 입고 진단을 하여 정밀진단을 하지만 수리교체 후에도 같은 진단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정밀진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교체된 고전압배터리 및 제어부는 계기판상으로도 정상 작동이 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게 됩니다. 고전압배터리를 교체한 후에 진단을 통하여 정확하게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안정화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출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리고 제조사 보증보다 긴 보증기간으로 여러분의 고전압배터리 교체로 안심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헤란로 - 네이버톡톡
친구추가해주시고, 차종 연식 주행거리 사시는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가능합니다.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차량들을 작업을 해오면서 느낀 점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많은 경험과 ...
blog.naver.com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고전압배터리전압센싱라인단선
#P1B74 #P1B96 #POAA6 #P1B70 #P1B77
#고전압 #배터리 #전압센싱 #단선 #인터록 #회로 #미체결 #인버터 #커패시터 #프리차징 #실패 #저전압
#리빌트 #리빌딩 #수리센터 #배터리고장 #배터리수리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싱 #라인단선
#하이브리드배터리 #수리 #재생 #리커버리 #리빌트 #배터리 #리빌딩 #정비 #셀 #팩 #HEV #PHEV #하브배터리 #메인배터리 #교환 #재생업체 #수리업체 #업체 #경고등
#그랜저HG #그랜저IG #YF소나타 #LF소나타 #K7 #하이브리드 #K5
'자동차 > 현대기아차H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그랜저HG DTC코드가 없는 고장 진단 및 문제점 해결 수리 (0) | 2025.03.17 |
---|---|
내구성이 취약한 LF소나타 하이브리드 배터리팩 교체 수리 (0) | 2025.03.15 |
P1B70 서비스센터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교체 800만원 진단을 배선 교체로 해결 (1) | 2025.03.13 |
YF소나타 하이브리드 부품 중 가장 일을 많이 하는 HPU 진단 및 수리 (1) | 2025.03.10 |
요즘 쏟아지는 LF소나타 PHEV 고전압배터리 진단 및 수리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