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하이브리드 프로토 타입은 베르나 및 프라이드 하이브리드이며, 개인적으로 0.5세대로 분류하는 모델은 아반테 및 포르테 LPG 하이브리드가 있습니다. 그리고, 실질적인 1세대 하이브리드 모델은 YF소나타 및 K5 1세대 하브이며, 2세대 하브 모델은 LF소나타 및 K5 2세대 하브입니다. 3세대 하브는 DN8 소나타 및 K5 3세대 하브 모델로 분류하며, 내구성 순위는 1세대, 3세대, 2세대로 분류합니다. 2세대 배터리팩 내구성이 가장 취약한 이유는 밸런싱 기능에 투자를 하고, 기능성을 강화한 것으로 보이며, 배터리에는 레이아웃은 1세대와 다르지만 같은 모듈로 2세대 밸런싱과 조합이 맞지 않아 내구성이 아주 취약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LF소나타 하브 배터리 역시 내구성에 문제가 생겨 스웰링 현상이 와서 리빌딩 작업이 불가능해진 케이스입니다. 2세대 배터리가 문제가 생겨 입고가 될 경우 대부분 스웰링 현상이 오는 것이 대부분이라서 내구성이 가장 취약하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현대기아차 2세대 하이브리드인 LF소나타 하브 차량의 에러코드가 표출되는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엔진 TPMS BMS HCU/LDC
TPMS를 제외한 3가지 카테고리에 대한 정밀진단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 보다 집중하여 실측까지 하면서 해당 트러블코드를 확인해 나갔습니다. 배터리 내구성이 취약하다면 그만큼 많은 트러블코드들이 표출될 것은 당연하며, 현대기아 1세대 하이브리드 에러코드들의 특성과 다른 내용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내용을 잘 살펴보면 텍스트는 다르지만 의미는 같은 것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엔진 쪽에서 표출되는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0420 촉매시스템 효율 저하
어느 정도 연식이 지난 엔진들에서 표출되는 에러코드로 큰 문제가 없다면 삭제를 하고 탈 수 있는 에러코드입니다.
그리고 BMS에서 표출되고 있는 에러코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P0B54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F 회로
P0B59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G 회로
P0B5E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H 회로
P0B63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I 회로
기존 1세대 하이브리드에서 보기 힘들었던 트러블코드가 무려 4가지가 표출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내용은 전압 감지 회로별 4가지이므로 해당 내용을 잠깐 생각해보면 기존 1세대 하이브리드에서 자주 출현했던 DTC코드가 머릿 속에 떠오르게 됩니다. 달라보이만 의미는 같은 내용입니다.
HCU 카테고리에서 표출되고 있는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0A0F 엔진 시동 이상
앞서 엔진 카테고리에서 표출된 'P0420 촉매시스템 효율 저하'와 연관성이 있어 보이지만 전혀 상관없는 내용이며, 개별적으로 실측 및 진단을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엔진 시동 이상 증상'의 경우 고전압배터리를 시작으로 엔진 자체적인 부분들까지 실측을 통해 진단을 해야하는 정비하기 어려운 에러코드 중 하나입니다. '엔진 시동 이상 증상'에 대한 원인들을 보면 하이브리드부터 엔진 원인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항상 공부하는 자세로 진단과 수리를 하면서 경험이 쌓여야 중심을 잡을 수 있습니다.
BMS에서 표출되고 있는 4가지 에러코드들을 보면,
P0B54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F 회로
P0B59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G 회로
P0B5E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H 회로
P0B63 하이브리드 전압 감지 I 회로
P0B54 P0B59 P0B5E P0B63 4가지로 전혀 달라보이는 내용처럼 보입니다. 수능 지문을 읽다보면 내용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지문의 내용들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를 추려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이상이라는 단어는 없지만 회로별 이상 증상으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전압 감지가 회로별 이상이 생겼다는 것으로 의역해볼 수 있습니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기존 포스팅에서 자주 나왔던 에러코드와 겹치는 부분이 있으며, 해당 내용을 해결을 하고 난 뒤 정상 작동이 되어 수리 완료하였습니다.
위 데이터만 보더라도 현재 왜 시동이 걸리지 않는지 단정할 수 있어야 하며, 하이브리드 배터리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에 대해 분해를 해보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대략적으로 예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위 수치들은 절대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기준치입니다. 현대기아차 하이브리드의 경우 기준 수치 이하일 경우 시동금지 락이 걸리게 됩니다.
현대기아 2세대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1세대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보다 단순하게 설계 제작된 BMS 시스템이 2세대에 접어들면서 밸런싱기능이 강화되고, 시스템이 복잡해지면서 배터리 내구성이 취약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P0A0F 엔진 시동 이상 문제는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문제로 인하여 표출된 에러코드이며, 엔진 시동 이상 문제 원인을 찾았습니다. 그리고 원인을 해결하고,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차주 분의 부담을 덜어 수리 정비를 완료하였습니다.
신품 수준의 고전압 배터리를 교체하여도 하이브리드 시스템 작업 후에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해당 안정화 작업은 저희 업체만의 교유의 아이덴티티입니다. 지금까지 수많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수리 경험과 노하우로 안정화 작업을 통해 보다 정확한 수리 완성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조사 보증보다 긴 보증기간으로 여러분의 고전압배터리 교체로 안심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헤란로 - 네이버톡톡
친구추가해주시고, 차종 연식 주행거리 사시는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가능합니다.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차량들을 작업을 해오면서 느낀 점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많은 경험과 ...
blog.naver.com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고전압 #배터리
#리빌트 #리빌딩 #수리센터 #배터리고장 #배터리수리 #고전압배터리
#하이브리드배터리 #수리 #재생 #리커버리 #리빌딩 #정비 #셀 #팩 #HEV #PHEV #하브배터리 #메인배터리 #교환 #재생업체 #수리업체 #업체 #경고등
#그랜저HG #그랜저IG #YF소나타 #LF소나타 #K7 #하이브리드 #K5
#P0420 #촉매시스템 #효율저하 #P0A0F #엔진시동이상
#P0B54 #전압감지 #F회로 #P0B59 #G회로 #P0B5E #H회로 #P0B63 #I회로
'자동차 > 현대기아차H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식 서비스센터 방전 진단 완벽하게 뒤짚기 feat. YF소나타 하이브리드 (1) | 2025.03.18 |
---|---|
현대 그랜저HG DTC코드가 없는 고장 진단 및 문제점 해결 수리 (0) | 2025.03.17 |
P1B74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싱라인 단선이란 무엇인가? feat. K5 HEV (0) | 2025.03.14 |
P1B70 서비스센터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교체 800만원 진단을 배선 교체로 해결 (1) | 2025.03.13 |
YF소나타 하이브리드 부품 중 가장 일을 많이 하는 HPU 진단 및 수리 (1)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