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현대기아차HEV

시동불능 주행불가 YF소나타 하이브리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여의도악마 2024. 4. 18. 06:17
반응형

주행불가인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스토리입니다. 해당 차량은 주행 중 시동이 꺼지면서 작동 불능 상태였다가 다시 살아나는 증상을 반복하는 차량으로 입고 당시에는 셀프로더에 실려와 다시 시동이 살아나는 증상을 반복하는 차량이었습니다.

경고등이 전부 발생되기도 하고 현재는 엔진 경고등 하나만 표출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런 증상은 전기적인 문제까지 동반되어 일어나는 증상으로 수리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증상입니다. 해당 증상은 기본 수리 시간을 두지 않고 작업을 해야 합니다.

경고등은 에어백 AB 경고등을 비롯하여 EPS 모터구동파워 스티어링, BMS, AHB 경고등까지 다채롭게 호화스런 에러를 표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함정일 뿐입니다. 전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면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및 제어부 교환만으로도 정상화되는 케이스입니다.

블로그를 자주 보는 분들께서는 P1B74 고전압 배터리 전압센싱 라인 단선을 자주 보셨을 것입니다. 그리고, P1B71 고전압 배터리 과전압 에러코드의 경우 블로그 상에서는 처음 공개하는 내용입니다. 해당 에러코드로 고생을 하다가 폐차 직전까지 갔던 차주 분들이 많은 에러코드입니다.

시동불가 상태에서 스캐너상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자주 봤던 내용입니다. 우선 배터리총 전압인 배터리 팩 전압과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 3가지를 기본으로 놓고, 다른 수치들을 조합하여 상황에 따른 유기적인 변화값 흐름을 검토하면서 정확한 진단을 해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배터리 팩 전압은 6553.5볼트이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입니다. 정말 말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우선 배터리 팩전압이 6553.5볼트라면 72개셀로 구성된 배터리 팩이므로 한 개 셀전압은 91볼트가 되어야 하는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라는 것도 말도 안되는 상황이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라면 72개셀로 구성된 배터리팩 전압은 367.2볼트가 나와야 정상입니다.

그러나 현대기아차 해당 모델들의 배터리팩 기준 전압은 270볼트입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이상 수치들로 기본 수치가 나오는 것은 현재 해당 차량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는 점은 분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수치들이 나오는 의미를 해석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정밀 진단에 임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현대기아차 하이브리드를 비롯한 전세계 모든 하이브리드 고전압 배터리는 총 4가지 관점에서 진단을 시작해야 합니다. 그 중 첫번째로 전압편차를 보면서 시작하는데, 전압은 0볼트를 전부 표출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셀간 전압 편차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압 편차의 경우 현대기아차 매뉴얼상 0.02볼트를 훨씬 뛰어넘는 전압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셀간 전압 편차가 0.14볼트입니다. 이렇게 시작된 정밀진단을 거쳐서 해당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픞 교체 진단을 내리고 수리에 들어갔습니다.

자체 개발한 개선된 BMS를 장착하고, 일련번호로 관리하는 신품 수준의 고전압 배터리를 교체하고, 작업 후에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해당 안정화 작업은 저희 업체만의 교유의 아이덴티티입니다. 지금까지 수많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수리 경험과 노하우로 안정화 작업을 통해 보다 정확한 수리 완성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교체 후에 배터리 셀간 전압 편차를 확인하는 것을 시작으로 교체 후 진단 작업을 통해 기본적인 확인 작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조건 및 작동 상태에 따른 변화값을 확인하면서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대한 확인을 하면서 교체 작업 후 차량 상태를 확인하게 됩니다. 우선 셀간 전압 편차는 현대차 매뉴얼상 0.02볼트를 기본으로 하게 되며, 신품 수준의 배터리팩 상태는 셀간 전압차이가 0.02볼트 이내로 한정됩니다.

위 스캐너상 고전압 배터리 상태를 보면 셀간 전압편차는 0볼트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압 수치만 보더라도 신품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해당 관점을 시작으로 고전압 배터리팩을 판단하는 관점은 3가지를 더 확인하면서 교체 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상태를 확인합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톡톡

궁금할 땐, 부담없이 물어보세요.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차량들을 작업을 해오면서 느낀 점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많은 경험과 ...

blog.naver.com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고전압 배터리전압센싱라인단선
#P1B74 #P1B70
#고전압 #배터리 #전압센싱 #단선 #인터록 #회로 #미체결 #인버터 #커패시터 #프리차징 #실패 #저전압
#리빌트 #리빌딩 #수리센터 #배터리고장 #배터리수리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싱 #라인단선
#하이브리드배터리 #수리 #재생 #리커버리 #리빌트 #배터리 #리빌딩 #정비 #셀 #팩 #HEV #PHEV #하브배터리 #메인배터리 #교환 #재생업체 #수리업체 #업체 #경고등
#그랜저HG #그랜저IG #YF소나타 #LF소나타 #K7 #하이브리드 #K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