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 YF소나타 하이브리드가 입고되었습니다. 해당 차량은 연비 저하 증상이 심각했으며, 진단기상 DTC코드와 다른 진단이 나와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교체 수리를 하여 정비를 마무리하였습니다. 정식 서비스센터에서 표출되었던 에러코드는 브레이크 계통으로 HPU 교체를 권유받았으나 부품 재고가 없는 관계로 수리를 하지 못해서 검색을 통해 방문한 차량입니다.
정식 서비스센터 진단을 뒤짚기한 사례이며, 오진으로 인하여 HPU를 교체하여 증상을 해결하지 못할뻔한 사례입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 진단이 어려운 이유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과 진단기 에러코드를 해석하는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차량은 계기판상 연비는 리터당 8.4킬로로 아주 극악 수준의 연비 상태로 정밀진단이 필요한 차량이었습니다. 해당 차량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정확한 문제해결을 통해 정상적인 현대 YF소나타 하이브리드로 거듭나게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 차량이었습니다. 하이브리드 진단 및 수리 대한민국 1등 자부심으로 제대로 수리를 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진단기상 에러코드를 표출하고 있는 카테고리는 1개로 다음과 같습니다.
AHB (유압부스터 활성)
하지만 트러블코드가 발생한다고 해서 무조건 고장이 났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에러코드는 참고 자료일 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항상 부품 실측을 통해 해당 카테고리의 트러블코드들을 일일히 확인하면서 확진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AHB(유압부스터 활성) 카테고리의 에러코드는 C1237과 C1604 이 두 가지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하며, C1237 또는 C1604가 다른 하나의 에러코드가 조합되어 '실패2' 즉, 두 가지로 조합되어야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진단을 하는 정비사는 하이브리드 전문가라면 위 카테고리를 일일히 들어가지 않더라도 이렇게 예상이 가능해야 합니다.

AHB (유압부스터 활성) 카테고리에서 표출되고 있는 에러코드는 2개로 다음과 같습니다.
C1237 압력센서 신호 이상
C1604 ECU 하드웨어 불량
2개가 동시에 표출되는 것은 이례적인 사례로 이런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이 요구됩니다. 부품 자체의 문제인지 다른 원인이 있는지에 대해 감각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마치고, 수리 범위에 대한 부분을 차주 분에게 정확하고 자세하게 설명한 뒤에 수리에 들어가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합니다. 이것 교체해보고, 저것 교체해보는 정비는 지양해야 합니다. 이는 차주 분께서는 정비업체에 느끼는 신뢰도를 하락시키는 주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하는 수리를 지향해야 합니다.

전반적인 진단기 수치 상황 및 수치 변화값들을 모두 살펴보아야 합니다.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데이터를 검토하다보니 특이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사항을 인지한 후 시운전을 하면서 데이터를 확보하여 정밀진단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오진을 최대한 막는 것이 중요하며, 이런 과정없이 진단기 에러코드에 의존할 경우 많은 오판을 겪고, 차주 분들에게는 불필요한 정비비용만 낭비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차량의 증상만 들어도 어느 정도 배터리팩의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증상 및 스캐너상 에러코드만 봐도 배터리팩 모듈의 상태를 예측 또는 확진을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차량의 경우 전화상 내용만으로도 배터리팩 모듈의 스웰링 현상을 알 수 있는 차량이었습니다. 그리고 스캐너상 수치만 봐도 스웰링 현상을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육안으로 확인해도 사용 불가능한 스웰링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정밀 점검 및 진단 후에 차주 분과 하이브리드 수리에 대한 교체 범위를 협의 하에 결정한 후에는 해당 부품들을 교체하고, 교체 후 정밀 진단을 시작합니다. 해당 작업 후 정밀 진단 과정을 거쳐야 보다 확실한 수리 완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내 차라면 이 차량을 고치겠다는 판단이 들어야 수리 후 출고가 가능합니다. 해당 부품들을 교체 한 후에 스캐너상 기본 요소들을 정밀 진단합니다.

자사에서 개발한 재생 기술로 리빌딩된 고전압배터리를 장착한 후 모듈별 셀 전압 수치를 보면3.84볼트로 모든 모듈의 셀 전압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셀 전압 편차는 0.00볼트로 신품 고전압배터리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초적인 수치만 확인할지라도 일반적인 재생 배터리나 상태 좋은 중고 배터리와는 확연히 다른 수준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충전 상태 및 셀 모듈별 셀전압 수치들을 보는 것으로 고전압배터리 진단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전류값 및 인버터 전압 상태 및 작동 상황별 상황을 판별할 수 있을 때,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대기아차 매뉴얼 기준 셀전압 편차는 0.02볼트이지만 해당 기준으로 고전압배터리를 판단할 경우 신차 수준의 하이브리드 차량들도 이 기준을 넘지 못하고, 고전압배터리 교체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아직까지 모든 정비업체에서는 하이브리드 판단 및 진단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주행 테스트를 통하여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교체 후에 스캐너상 수치들을 확인하면서 차량과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가 제대로 안착되었는지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도 거쳐야 합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거친 후에 주행 테스트를 통해 최종 확인을 거친 후에 차량을 출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비를 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헤란로 - 네이버톡톡
차종 연식 주행거리 사시는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가능합니다.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GROK beta3 에 하이브리드 수리업체를 물어봤습니다.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
blog.naver.com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하이브리드배터리교체
#고전압 #배터리 #하이브리드수리업체 #하이브리드수리 #뒤짚
#현대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고전압배터리 #DTC코드 #에러코드
#C1237 #압력센서 #신호이상
#C1604 #ECU #하드웨어불량

'자동차 > 현대기아차H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 통신불가 U0110 인버터 교체 후 P1B77 수리 feat. 그랜저HG HEV (0) | 2025.04.10 |
---|---|
현대 YF소나타 하이브리드 구동모터 교체 수리 및 HSG 교체 수리 (0) | 2025.04.09 |
극한의 작동 상황 속에서도 버티는 배터리가 정상적인 신품 수준이다. feat. YF소나타 HEV (0) | 2025.04.07 |
지인의 소개로 입고한 기아 K7 HEV 하이브리드 수리 교체 (0) | 2025.04.06 |
K5 하이브리드 BMS 및 고전압배터리팩 교체수리 feat. MCU, 인버터 충돌현상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