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시스템 전반적으로 총체적인 난국에 놓인 K5 1세대 하이브리드 차량입니다. 불과 8만킬로 주행거리의 차량으로 주행불능에 빠진 차량을 차주께서 수리를 의뢰한 차량입니다. 해당 차량은 주행 중 시동이 꺼지는 증상으로 인하여 정밀 진단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관련 시스템 및 엔진까지 점검해야 했던 차량입니다.
해당 차량은 주행 중 주행불능 상황에 놓여 입고된 차량으로 차주 분께서는 주행불능 상황에 돌입하자 많이 당황하셨다고 합니다. 또한 주행불능 현상 이후에 갓길에 주차를 한 후에 재시동을 시도했으나 시동불능으로 놓인 상황에서 긴급출동 견인서비스를 이용하여 현대 블루핸즈부터 현대 하이테크센터까지 방문하였다가 진단 불가 판정을 받으면서 검색을 통해 입고를 한 차량입니다.
9개의 카테고리에서 트러블코드를 표출하고 있는 상태로 에어백 카테고리를 비롯하여 AHB (유압부스터 활성)까지 다채로운 카테고리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트러블코드가 발생한다고 해서 무조건 고장이 났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해당 카테고리의 트러블코드들을 일일히 확인하면서 실측과 점검을 통해 확진을 해야 합니다.
9번째 AHB(유압부스터 활성) 카테고리의 에러코드는 C1237과 C1604 이 두 가지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하며, C1237 또는 C1604가 다른 하나의 에러코드가 조합되어 실패2 즉, 두 가지로 조합되어야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진단을 하는 정비사는 하이브리드 전문가라면 위 카테고리를 일일히 들어가지 않더라도 이렇게 예상이 가능해야 합니다.
Engine and ECT 카테고리에서 표출된 DTC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0562 시스템 전원 낮음
'P0562 시스템 전원 낮음' 에러코드는 문제점이 동시에 표출된 것은 분명히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에러코드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되는 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스템 전원 낮다는 것은 4번 실린더 점화 시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부분이며, 이는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것에 대한 원인 파악이 선행되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스캐너상 표출된 에러코드 중에서 해당 차량의 시동불능 원인을 제공한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1744 변속기 엔진 클러치 시스템 성능이상
P1744 에러코드의 경우 하이브리드 시스템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과 트랜스 미션 자체 문제일 가능성 등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시스템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서 고장이 높은 상황이 예상되었으며, 배터리팩 교체까지 해야할 것으로 보였습니다. 현대기아차 스캐너상 에러코드 신뢰도는 낮은 편이라 확정 진단까지 신중한 진단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에러코드인 고장코드는 'P1744'로 세계 공용 에러코드로 표출되며, '락업 클러치 시스템 이상' 문구를 표출하게 되어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에러코드의 경우 신뢰도가 30% 수준으로 일반 내연 기관의 에러코드 신뢰도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정비하기 힘든 차량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P1B74 에러코드의 경우 고전압배터리 전압센싱 라인 단선 이라는 에러코드인데, 실질적으로 BMS 센싱을 담당하는 부분이 망가져서 표출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동시에 고전압배터리에 문제가 있거나 고전압배터리 센싱이 잘 되는 않는 상황에서 P1B74 에러코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고전압배터리 센싱이 잘 되는 않는 상황에서는 P1B96이라는 에러코드가 있으며, 고전압배터리 자체 문제일 경우 P1B70 또는 P1B77이라는 에러코드도 있으나 이들 4가지 에러코드들이 전부 표출되지 않고, 일부 표출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런 이유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스캐너상 에러코드 신뢰도는 30% 수준이라고 주장합니다.
AHB(유압 부스터 활성) 카테고리의 주요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C1236 고압 어큐뮬레이터 저압력
C2402 모터 전기적 이상
이렇게 표출되고 있는 에러코드는 과연 주요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HPU문제이지만 다른 원인으로 일시적인 에러코드 표출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고 진단에 임해야 합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 특성을 제대로 알고 접근해야 합니다.
AHB(유압부스터 활성) 카테고리의 에러코드는 C1237과 C1604 이 두 가지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하며, C1237 또는 C1604가 다른 하나의 에러코드가 조합되어 '실패2' 즉, 두 가지로 조합되어야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진단을 하는 정비사는 하이브리드 전문가라면 위 카테고리를 일일히 들어가지 않더라도 이렇게 예상이 가능해야 합니다. 간혹 C2402 모터 전기적 이상 에러코드도 함께 표출되기도 하지만 정확한 진단 과정이 필수입니다.
스캐너상 배터리 팩 전압을 보면 6553.5볼트가 표출되고 있습니다. 고전압 배터리 총전압은 6553.5볼트이며, 최대셀전압은 5.1볼트 및 최소셀전압은 사이 좋게 5.1볼트였습니다. 우선 배터리총 전압인 배터리 팩 전압과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 3가지를 기본으로 놓고, 다른 수치들을 조합하여 상황에 따른 유기적인 변화값 흐름을 검토하면서 정확한 진단을 해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배터리 팩 전압은 6553.5볼트이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입니다. 정말 말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우선 배터리 팩전압이 6553.5볼트라면 72개셀로 구성된 배터리 팩이므로 한 개 셀전압은 91볼트가 되어야 하는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라는 것도 말도 안되는 상황이며, 최대 셀전압 및 최소 셀전압이 5.1볼트라면 72개셀로 구성된 배터리팩 전압은 367.2볼트가 나와야 정상입니다.
해당 차량은 주행 중 주행불능 상황에 놓여 입고된 차량으로 차주 분께서는 주행불능 상황에 돌입하자 많이 당황하셨다고 합니다. 또한 주행불능 현상 이후에 갓길에 주차를 한 후에 재시동을 시도했으나 시동불능으로 놓인 상황에서 긴급출동 견인서비스를 이용하여 현대 블루핸즈부터 현대 하이테크센터까지 방문하였다가 진단 불가 판정을 받으면서 검색을 통해 입고를 한 차량입니다.
기존 장착되어 있던 고전압배터리 상태입니다. 리튤폴리머 배터리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부품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이를 배터리 스웰링 현상이라고 합니다. 스웰링 현상이 오면 배터리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을 정도로 배터리 내부 손상이 발생된 것인데, 원인은 내부 소재들이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손상을 입으면서 분리막 손상으로 이어져 내부 소재들이 가스를 발생시키게 되고, 가스로 인하여 부품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진은 신품 수준으로 재생시킨 리빌딩 고전압 배터리팩이 장착된 상황입니다. 덴트라이트를 파쇄한 신기술 재생방식으로 신품 수준으로 리빌딩한 배터리팩만 취급하며, 해당 배터리팩의 경우 자체 일련번호를 부여하며, 철저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리빌딩 밸런싱 배터리팩으로 사용해야만 가장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어렵게 스웰링이 최대치로 진행된 고전압 배터리팩을 분리한 후 새로운 배터리팩을 장착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어부과 함께 교체를 진행하였으며, 원활하게 시동이 걸리고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마치고, 수리 범위에 대한 부분을 차주 분에게 정확하고 자세하게 설명한 뒤에 수리에 들어가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합니다. 이것 교체해보고, 저것 교체해보는 정비는 지양해야 합니다. 이는 차주 분께서는 정비업체에 느끼는 신뢰도를 하락시키는 주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하는 수리를 지향해야 합니다.
교체된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상태를 스캐너상 표출되는 수치들로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내용입니다. 이런 부분들까지 차주 분에게 확인시켜드리는 것이 의무입니다. 해당 내용들을 근거로 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이해시키고, 정비를 완료해야 합니다. 이런 부분은 시작이며, 4가지 관점으로 고전압배터리에 대한 정상작동 확인을 거친 후에 출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헤란로 - 네이버톡톡
차종 연식 주행거리 사시는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가능합니다.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GROK beta3 에 하이브리드 수리업체를 물어봤습니다.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
blog.naver.com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고전압배터리전압센싱라인단선 #고전압배터리저전압
#P1B74 #P1B96 #P1B70 #P1744 #변속기엔진 #클러치 #시스템 #성능이상
#P0562 #시스템전원낮음
'자동차 > 현대기아차H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K5 하이브리드 신기한 절연파괴 증상이 계속되는 P0AA6 진단 및 수리 (0) | 2025.04.24 |
---|---|
1년 점검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상태는 어떤가? feat. P1744 (1) | 2025.04.23 |
기아 K5 하이브리드 'P0A78 구동모터 A 인버터성능이상' 진단과 해결 정비 (2) | 2025.04.19 |
기아 K5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1년 점검이란 무엇인가? (0) | 2025.04.18 |
기아 K5 하이브리드 시스템 대표 DTC코드 P1B74 증상 및 정비 수리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