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현대기아차HEV

독특한 현대기아차 K7 하브 2세대 하이브리드 스웰링 현상 교체 수리

여의도악마 2025. 7. 1. 13:13
반응형

2017년형 기아 K7 하이브리드 2세대 차량이 입고되었습니다. 실질적인 DTC코드가 없는 사례로 스캐너상 에러코드 신뢰도가 30% 수준이라는 그동안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레입니다. 해당 차량은 가솔린 2.4 MPI 세타2엔진이 적용된 차량이며,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는 트렁크 스페어 타이어 공간에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장착 부위로 만들어서 출시한 하이브리드 차량입니다.

엔진 점화와 관련된 카테고리에서 발생된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B1112 이그니션 전압 낮음

위 에러코드는 방전상황에서도 발생될 수 있는 에러코드로 쉽게 삭제될 수 있는 에러코드입니다. 그러나 전기적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은 현저하게 낮지만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자동차 주행 시에 엔진 시동이 껴져버릴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진단에 신중해야 합니다.

B1102 B1400 B1429 B1433 에러코드들이 함께 표출되지만 같은 부품 내부 관련 에러코드들입니다.

B1102 배터리 전압 낮음

위 에러코드는 방전상황에서도 발생될 수 있는 에러코드로 쉽게 삭제될 수 있는 에러코드입니다. 그러나 전기적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은 현저하게 낮지만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자동차 사고시 중요한 상황에서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B1102 에러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B1400 B1429 B1433 에러코드들의 경우에 부품 자체 고장으로 오인하는 에러코드들 중 하나인데,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은 부품 고장 보다는 시동배터리나 고전압배터리 LDC 이상으로 인한 저전압 상황이 형성되면 일시적으로 표출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HCU Hev 콘트롤 시스템 카테고리에서 표출되는 DTC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0A0F 엔진 시동 이상

지난 포스팅 내용들을 살펴보면 'P0A0F 엔진 시동 이상' 해결 정비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에러코드는 엔진증상 같지만 HCU 카테고리에서 표출되고 있는 내용이며, 개별적으로 실측 및 진단을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엔진 시동 이상 증상'의 경우 고전압배터리를 시작으로 엔진 자체적인 부분들까지 실측을 통해 진단을 해야하는 정비하기 어려운 에러코드 중 하나입니다. '엔진 시동 이상 증상'에 대한 원인들을 보면 하이브리드부터 엔진 원인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항상 공부하는 자세로 진단과 수리를 하면서 경험이 쌓여야 중심을 잡을 수 있습니다.

원래 이정도 상황이면 다음과 같은 크리티컬 DTC코드가 스캐너상 표출되어야 정상입니다.

P0AA6 고전압 배터리 부품 절연파괴

P1B77 인버터 커패시터 프라차징 실패

P0AA6 고전압 배터리 부품 절연파괴 에러코드와 P1B77 인버터 커패시터 프라차징 실패 에러코드가 동시에 표출되고 있습니다. 이는 하이브리드 배터리 상태를 볼 필요도 확이도 필요없는 상황입니다. P0B4F 같은 에러코드도 함께 표출되어 하이브리드 배터리 상태가 심각하다고 말해주어야 하지만 심각한 에러코드는 전혀 표출되지 않는 차량이었습니다.

고전압 배터리팩에 대한 센싱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내용 확인과 수치들이 정확한지 기본적으로 정밀 진단을 시작합니다. 교체된 고전압 배터리팩의 전압 편차는 전혀 없는 0볼트로 고전압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셀전압 모두 3.86볼트를 표출하고 있습니다. 신품 수준의 전압 편차 0볼트의 리빌딩 고전압 배터리팩만을 국내에 유통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 부품을 교체 후에는 전매 특허인 고전압배터리 셀간 전압 편차 0.00볼트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 시켜드리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에서 매뉴얼을 보면 셀간 전압 편차 허용범위는 0.02볼트로 작동 상황별로 셀간 전압 편차가 허용되는 범위를 0.02볼트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작동 상황 속에도 3.86볼트로 셀간 전압 편차는 0.00볼트로 신품 수준의 리빌딩 배터리팩으로 교체한 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통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을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4가지 관점에서 입고 진단을 하여 정밀진단을 하지만 수리교체 후에도 같은 진단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정밀진단하고 있습니다.

교체된 고전압배터리의 모듈간 전압편차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 수리에 대한 진단을 시작하게 됩니다. 모듈간 전압편차가 0.00볼트로 신차 수준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스캐너상 수치들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을 시작으로 교체된 고전압배터리를 진단하게 됩니다. 4가지 관점으로 하이브리드 고전압 메인 배터리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신품 수준의 리빌딩 배터리팩으로 교체한 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통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을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4가지 관점에서 입고 진단을 하여 정밀진단을 하지만 수리교체 후에도 같은 진단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정밀진단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헤란로 - 네이버톡톡

차종 연식 주행거리 사시는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가능합니다.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GROK beta3 에 하이브리드 수리업체를 물어봤습니다.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

blog.naver.com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고전압 #배터리 #전압센싱 #단선 #저전압

#하이브리드배터리 #수리 #재생 #리커버리 #리빌트 #배터리 #리빌딩 #정비 #셀 #팩 #HEV #하브배터리 #메인배터리 #교환 #재생업체 #수리업체 #업체 #경고등

#그랜저HG #그랜저IG #YF소나타 #LF소나타 #K7 #하이브리드 #K5

#P0AA6 #고전압배터리부품 #절연파괴

#P0B4F #고전압배터리 #5번전압센싱부이상

#P1B77 #인버터커패시터 #프라차징실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