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 차량의 특징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경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셧다운 시키고, 내연기관으로만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점이 강점입니다.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의 경우 주행 중 시동이 꺼져버리는 불상사에 직면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도요타 렉서스 차량의 경우 주행 중 시동이 꺼지고,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계기판상 체크 하이브리드 시스템 'Check Hybrid System' 문구를 표출하고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사실만 오너에게 알려줍니다.
지금까지 수리를 했던 도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 차량들의 최초 하이브리드 경고등 입고 차량들의 주행거리 평균은 17만킬로대입니다. 하지만 최초 하이브리드 경고등 차량의 주행거리 범위가 11만킬로부터 38만킬로대로 주행거리 범위는 광범위합니다. 따라서, 해당 차량은 주행거리가 평균범위 하위권에 속합니다.
도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 배터리는 주행거리보다는 연식에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보통 7년 이상된 도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 차량들의 하이브리드 경고등 표출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배터리는 소모품이라는 특성 때문입니다.
P0A80 오류 코드는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와 관련된 문제를 나타냅니다. 이 코드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배터리 용량 저하 : 하이브리드 배터리가 노후되거나 사용에 따라 용량이 감소하면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도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 차량에 해당되는 고장원인으로 이 부분이 해결 과제 입니다.
2. 배터리 셀 불균형 : 배터리 셀 간의 전압 차이가 클 경우,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어 P0A80 코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배터리 용량 저하가 원인으로 시작하여 셀 불균형으로 연결되는 현상으로 순차적인 결과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3. 배터리 연결 문제 : 배터리 단자나 연결부의 불량으로 인해 전기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배선 문제는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베르나 프라이드 하이브리드의 경우에는 현대기아차에서 프로토 타입으로 도요타에게 하청을 주어 만든 HEV로 제대로 가격을 지불하지 못하여 배선 문제가 심각하게 고장이 난 차량이 대부분입니다.
4. 온도 문제 : 배터리가 과열되거나 너무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전압배터리 온도가 60도 이상 유지되는 상황이 벌어지면 경고등이 표출될 수 있습니다. 블로우모터 문제부터 고전압배터리 자체 문제까지 전부 진단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런 이유로 하이브리드 전문성을 가진 업체에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HEV 시스템 문제 :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이 코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배터리와 모터 시스템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인버터 HCU MCU LDC 등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은 다양합니다. HEV 경고등이 계기판에 표출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고전압배터리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진단기 트러블코드는 참고 자료에 불과하며, 반드시 실측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 코드는 배터리 문제를 나타내므로, 적절한 점검과 수리가 필요합니다.
P0A80 'Replace hybrid battery pack'
P0A80 에러코드는 도요타 렉서스에서 가장 많이 경험하게 되는 에러코드입니다. P0A80 에러코드는 'Replace hybrid battery pack' 즉 하이브리드 고전압 배터리 교체 라는 의미이며, 해당 에러코드의 경우 신뢰도가 높은 편이지만 반드시 고전압 배터리팩을 교체해야하는 기준은 아닙니다.
하이브리드 컨트롤(Hybrid Control) 카테고리에 진입하여 고장코드에 진입하면 Replace hybrid battery pack 즉, 하이브리드 배터리팩 교체라는 에러코드가 P0A80 코드로 표출하는데, 3개로 표출하고 있습니다. Pending Currunt 히스토리 3가지 부카테고리로 표출됩니다. 만약 4개가 표출될 경우 서비스센터에서는 BMS 고장으로 설명하고 고전압배터리 교체 비용을 제외하고 BMS 교체비용을 추가로 안내합니다.
하이브리드 컨트롤(Hybrid Control) 카테고리 에러코드가 3개가 아닌 4개가 될 경우 permanent 영구적인 에러코드를 하나 더 추가되어 있을 것입니다. 해당 에러코드가 나온 차량의 경우 무조건적인 BMS 교체를 하지 말고 정밀진단 예약을 통해 진단 후 수리 교체 또는 확인 과정을 통해 불필요한 수리비용 지출을 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permanent 경고등의 경우 데이터 이상으로 인한 표출의 경우와 BMS 자체 손상으로 인한 표출에 따라 진단 및 처방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permanent 경고등은 정식 서비스센터에서는 가장 무서운 경고등으로 BMS 제어부 부품값만으로 200만원이며, 여기에 부가세 및 장착 공임을 별도로 청구하게 됩니다. 또한 고전압배터리 교체 비용은 별도로 청구됩니다. BMS 교체 여부는 단지 진단기상 DTC코드만으로 확진할 경우 차주에게 과다한 정비비용이 청구될 수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처방은 상담 문의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하이브리드 고전압 메인배터리 작업은 전문성을 가지고 작업을 해야합니다. 단순하고 명확한 배터리 재생과정이 필요합니다. 전압을 단순 확인하거나 용량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만 재생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밸런싱 하이브리드 배터리 재생이라는 단어 역시 저희가 전국 최초로 적용하였습니다. 각 셀별 정확한 재생과정 및 덴트라이트 결정 파쇄작업 그리고 배터리셀의 포지셔닝 작업까지 모든 과정이 혁신적인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이브리드메인배터리 #수리 #정비 #교체 #교환 #하이브리드 #배터리 #업체 #전국망
#하이브리드배터리수리업체 #하이브리드배터리재생업체 #리빌딩배터리 #리빌트배터리 #P0A80
#렉서스 #CT200h #ES300h #GS450h #RX450h #LS600h #프리우스 #캠리 #하이브리드메인배터리수리 #하이브리드고전압배터리수리 #하이브리드메인배터리수리 #하이브리드고전압배터리수리
#BMS #손상 #교체 #영구적인 #permanent #BMS커넥터 #쇼트 #쇼트증상
'자동차 > 도요타렉서스H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계 최고 수준의 보증기간 4년을 선택한 렉서스 ES300h (0) | 2025.02.02 |
---|---|
permanent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DTC코드 진단 및 대응방법 feat. ES300h (0) | 2025.01.31 |
북미형 캠리 하이브리드 고전압배터리 교체는 어떻게 하는가? feat. 문제점 (1) | 2025.01.25 |
시동불능이 된 렉서스 UX250h의 복합적인 트러블코드는 어떻게 해결할까? (0) | 2025.01.24 |
사설업체에서 교체받은 후 업체가 연락을 받지 않아서 입고한 렉서스 ES300h (3)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