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복합 DTC코드 P1B70 P1B74 P1B96 P0A0F 4종 세트
현대 그랜저HG 하이브리드 차량이 P1B70 고전압배터리 저전압 증상으로 입고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저전압 증상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전압배터리 저전압 증상은 말 그대로 고전압배터리셀의 전압이 작동 상황에 따라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전압 자체가 무너지는 현상이 일어날 때, P1B70 트러블코드를 표출하게 됩니다.
34.5 만킬로를 주행한 그랜저HG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계기판상 경고등이 엔진 경고등부터 선명하게 이상이 있다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계기판상 경고등만으로는 엔진 경고등이 표출되는 이유는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정밀진단이 필요합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스캐너를 오토 스캔으로 돌려봅니다.
DTC코드를 표출하는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AB Airbag VDC
EPS 모터 구동 파워스티어링
VDC 차량동적제어
HCU Hybrid Control System
BMS 배터리 관리 시스템
총 5가지 카테고리에서 에러코드를 표출하고 있으며, 이중 주요 에러코드를 표출하는 카테고리는 HCU Hybrid Control System과 BMS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하이브리드와 관련되어 있지 해당 에러코드의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대기아차 하이브리드 수리 경험과 노하우가 바탕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스캐너상 에러 카테고리는 BMS 쪽 에러코드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해당 카테고리는 하이브리드 쪽 고장코드들이 BMS에서 송출되는 카테고리이기 때문에 엔진 경고등이 없었던 차량이지만 검토에 들어갑니다. 기본적으로 BMS 카테고리에서 트러블코드를 표출한다는 것은 배터리팩 시스템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1B70 고전압 배터리 저전압
P1B74 고전압 배터리 전압센싱 라인 단선
P1B96 고전압 배터리 전압센싱 이상
에러코드가 표출되었습니다.
모든 자동차 스캐너 에러코드가 그렇지만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정비를 위한 참고 지표일 뿐 정답은 아닙니다. 에러코드의 원인과 결과가 모두 표출되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질적으로 해당 차량은 P1B70 및 P1B74, P1B96가 동시에 표출된 상태이지만 P1B77가 하나 빠진 상황입니다. 4가지가 동시에 표출되어야 하는 상황이지만 한 가지만 표출된 상태이므로 해당 차량에 대한 스캐너 진단코드의 신뢰도는 75% 수준입니다.
이런 이유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스캐너상 에러코드는 일반 내연기관 보다 더욱 신뢰도가 떨어지는 특성이 있으며, 작동 여부(상황)에 따라 변화값 흐름까지 읽어내야 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자동차 정비가 더욱 어렵습니다.
HCU Hybrid Control System 하이브리드 컨트롤 시스템 카테고리에서 표출하는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0A0F 엔진 시동 이상
P0A0F 에러코드의 경우 도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도 다수 표출되는 에러코드입니다. 다만 엔진 시동 이상이라는 말 그대로 엔진 시동 이상 증상의 경우 해당 내용만으로 진단 원인을 찾는 것은 힘듭니다. 왜냐하면 엔진 자체의 문제인 경우부터 HSG 및 배터리 시스템 자체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원인 경우의 수를 생각하여 엔진부터 배터리시스템까지 모든 원인 가능성에 대한 정밀진단을 해야만 정확한 원인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해당 차량의 배터리는 스웰링 현상이 오면서 4가지 복합 에러코드가 표출한 상황으로 그동안 하이브리드 차량을 수리하면서 고전압배터리 밸런싱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고전압배터리팩 밸런싱의 경우 전압 밸런싱과 용량 밸런싱이 있으며, 이 두가지를 해결할 수 있어야 고전압배터리 밸런싱을 제대로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어부인 BMS에 대한 개선품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셀 전압 밸런싱(균형화) 기술을 보유한 업체에서 고전압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 셀 간 전압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2차전지 학계 및 업계에서 다양한 셀 밸런싱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현실적인 기술을 보유한 업체는 거의 없습니다.
셀 전압 편차가 크면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요즘 차주 분들의 차량의 충전시간이 길어질 경우 고전압배터리 셀 전압 편차가 커진 것으로 의심해봐야 합니다. 셀 전압 편차가 커졌다는 것은 고전압배터리 성능 저하가 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희 업체의 전매특허인 고전압배터리 모듈별 셀간 전압 편차가 0.00볼트로 신차 수준임을 단번에 확인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시스템 작동 상황 속에서도 0.02볼트로 현대기아차 매뉴얼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하이브리드 배터리 수준 증명하고 있습니다.
34만킬로를 주행한 하이브리드 차량이지만 고전압배터리 교체로 신품 수준의 상태임을 차주 분에게 확인시켜드리고, 나머지 3가지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개별 확인 과정을 진행한 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과정을 마무리한 후 이상 없음을 확인하고, 출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교체된 고전압배터리의 모듈간 전압편차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 수리에 대한 진단을 시작하게 됩니다. 모듈간 전압편차가 0.00볼트로 신차 수준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스캐너상 수치들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을 시작으로 교체된 고전압배터리를 진단하게 됩니다. 4가지 관점으로 하이브리드 고전압 메인 배터리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신품을 뛰어넘는 리빌딩 배터리팩으로 교체한 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통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을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4가지 관점에서 입고 진단을 하여 정밀진단을 하지만 수리교체 후에도 같은 진단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정밀진단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주요 부품들을 신품 수준으로 교체 후에 하이브리드 시스템 안정화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캐너상 아무런 에러코드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을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원인을 해결하였으니 스캐너상 에러코드도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정밀진단 시에 확인되는 엔진 진동 및 소음을 근거로 판단하여 차량 엔진 내구성에 큰 영향을 주는 카본제거를 차주 분에게 권유하여 시공을 하게 됩니다. 엔진 쇼트 사례를 저희 블로그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무리한 예방정비를 지양합니다.
만약 여러분의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정확한 밸런싱 리빌딩배터리를 원칙으로 하는 전국 수리망을 갖춘 밸런싱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리빌딩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네이버톡톡으로 차종 및 연락처와 지역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를 배정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헤란로 - 네이버톡톡
차종 연식 주행거리 사시는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가능합니다.
talk.naver.com
자동차전문에디터 테헤란로
문의는 차종 연식 주행거리 지역 연락처를 주셔야 상담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및 고전압 배터리 전문성있는 작업이란?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GROK beta3 에 하이브리드 수리업체를 물어봤습니다. 수많은 현대 기아차 하...
blog.naver.com
#하이브리드 #메인배터리 #수리비용 #재생 #리커버리 #수리 #경고등 #에러코드 #고전압배터리 #저전압
#하이브리드배터리 #수리 #재생 #리커버리 #리빌트 #배터리 #리빌딩 #정비 #셀 #팩 #HEV #PHEV #하브배터리 #메인배터리 #교환 #재생업체 #수리업체 #업체 #경고등
#그랜저HG하이브리드 #P0A0F #엔진시동이상 #P1B70 #고전압배터리저전압
#P1B74 #고전압배터리전압센싱라인단선
#P1B96 #고전압배터리전압센싱이상